Oracle Cloud Free Tier(상시 무료 신규 서비스): 오라클에서 제공하는 평생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버 입니다.
아래와 같은 서비스를 평생 무료로 사용 가능합니다.
대충 요약하면 2개의 가상머신(VM)이 사용 가능하고 스토리지는 100GB 제공 되고 트래픽은 월 10TB 까지 제공 됩니다.
간단한 서비스 또는 정식 서비스 오픈전에 테스트용으로 사용하기에는 충분한 용량 인것 같습니다.
가입을 하고 가상머신(VM)까지 생성해보았는데 어렵지는 않으나 잘 모르는분들은 접근하기가 쉽지 않을 것 같아 한번 정리 해보았습니다.
#1 회원가입
사이트 url : https://www.oracle.com/kr/cloud/free/
1. 접속하시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올것 입니다. 무료로 시작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2. Country/Territory에 South Korea를 선택하고 Email Address에 본인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고 아래 체크박스에 모두 체크를 하고
Next버튼을 클릭합니다.
3. Account Type은 저는 Personal Use를 선택하였는데 본인에 맞게 선택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4. Cloud Account Name은 계정 URL에 사용됩니다. 프로젝트명 또는 아이디 같은것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영문 소문자와 숫자만 입력 가능하며 다른사람이 미리 입력한것은 중복으로 입력되지 않습니다.
5. Home Region은 서버 위치인데 저는 서울을 선택하였습니다. 한국의 경우 서울과 춘천 2개가 있습니다.
6. First Name과 Last Name은 본인의 성과 이름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7. Address는 집 상세주소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8. City는 저는 집이 서울시 노원구라 Nowon을 입력 하였습니다.
9. Province는 Seoul을 입력하였습니다.
10. Zip/Postal Code 우편번호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11. Country/Territory는 자동으로 선택 됩니다.
12. Mobile Number를 입력하실 때 핸드폰 번호 시작을 010 이렇게 시작하시면 안되고 10 이렇게 시작하셔야 됩니다. 저는010으로 번호를 입력하였다가 인증번호가 오지 않아서 당황했었습니다.
13. Code에 인증번호를 입력하시고 Verify Code 버튼을 클릭 합니다.
14.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Next버튼을 클릭합니다. 비밀번호가 좀 까다롭습니다. 12자 이상이여야 하고 영문소문자/영문대문자/숫자/특수문자가 포함되어 있어야 합니다.(메모를 해두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저같은 경우 이렇게 복잡하게 해놓으면 꼭 나중에 까먹더라고요.)
16. Add Credit Card Details 를 클릭합니다.
17. 카드타입/카드번호/유효기간/CVC 코드까지 모두 입력하고 Finish 버튼을 클릭하시면 회원가입이 완료 됩니다.
#2 로그인
사이트 url : https://www.oracle.com/kr/cloud/free/
1. 클라우드 로그인 버튼 클릭 합니다.
2. 회원가입 시 입력하였던Cloud Account Name 을 입력합니다.
3. 회원가입시 입력 하였던 이메일주소와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사인인을 클릭하시면 로그인 됩니다.
#3 가상머신(VM) 만들기
1. 로그인 하시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오며 VM 인스턴스 생성을 클릭 합니다.
(평생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것은 항상 무료 적격이라고 친절하게 표시를 해주네요.)
2. 저 같은 경우 우분투를 사용하기 위하여 이미지 변경 버튼을 클릭하였습니다.
3. 원하는 OS를 선택하고 스크롤을 내려 아래 이미지 선택 버튼을 클릭 합니다. 윈도우 서버는 항상 무료 적격이 표시 되어 있지 않으므로 무료대상이 아닌것 같습니다.
4. 구성. 네트워크 및 스토리지 옵션 표시 버튼을 클릭하면 상세하게 변경할 수 있는 화면이 나옵니다.
구성의 경우 항상 무료 적격 가능상품이 default로 선택되어 있고 수정할 수 있는것은 무료가 아닙니다.
스토리지는 사용자정의 부트 볼륨 크기 지정을 체크하고 수정이 가능한데 100GB까지만 무료이므로 2대의 VM에 나누어서 사용하던지 아님 1대만 사용할것이면 100GB로 지정하여도 될 것 같습니다. default는 46.6gb입니다.
저는 수정하지 않고 그냥 default로 하였습니다.
5. SSH 키 추가를 하여야 합니다. AWS의 경우 키를 제공하여 주는데 오라클 클라우드는 직접 만들어서 올려야 하는것 같습니다. 저는 여기서 살짝 당황 했습니다만 해결하였습니다.
키는 아래와 같이 만들면 됩니다. (리눅스, Mac OS 및 Window 10에서는 ssh-keygen을 이용하여 ssh key pair를 생성)
$ ssh-keygen -t rsa -N "" -b 2048 -C "comment" -f ./Documents/key/oracle_key
뒤에 ./Documents/key/oracle_key 는 디렉토리 경로와 oracle_key는 키파일명 입니다.
저는 맥북을 사용하고 있어서 터미널에서 입력하여 생성 하였습니다.
6. 만든 키파일(확장자 .pub)을 드래그 또는 찾아보기를 통하여 업로드 하고 생성 버튼을 클릭하시면 VM 인스턴스가 생성 됩니다.
7. VM 인스턴스가 생성되었고 공용IP 주소를 통하여 접속이 가능합니다.
#4 가상머신(VM) 접속
제 컴퓨터가 맥북이라 맥에서 접속하는 방법으로 설명 드리겠습니다. Windows의 경우 putty를 통하여 접속하시면 됩니다.
$ cd ~/.ssh // 폴더 이동
$ cp ../Documents/key/* ./ // 폴더로 키파일 복사
1. .ssh 폴더로 이동하고 .ssh 폴더에 위에서 생성하였던 key파일 두개를 복사합니다.
$ vi config // config 파일을 편집
아래 입력
##############################
######## oracle
Host oracle1
HostName 132.145.94.172
Port 22
User ubuntu
IdentityFile ~/.ssh/oracle_cloud_key
설명:
#: 주석
Host : 접속할 host 명
HostName : 접속할 IP 주소
Port: 포트
User: 해당서버 user
IdentityFile: 키파일의 위치
2. config 파일을 편집 합니다.
$ chmod 600 oracle_key
$ chmod 644 oracle_key.pub
3. 그냥 접속을 하려고 하면 권한이 없다고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위와 같이 키파일에 권한을 줍니다.
$ ssh oracle1
4. 위의 명령어로 접속하시면 됩니다.
처음 접속하시면 ~ Are you sure you want to continue connecting (yes/no/[fingerprint])? 메시지가 나올 수 있습니다. yes입력하시고 엔터 누르시면 됩니다.
5. 최종 서버에 접속 된 화면 입니다.
여기까지 따라 오시느냐고 고생하셨습니다.
제 설명이 좀 부족할 수도 있습니다. 그래도 최대한 초보분들도 편하게 볼수 있도록 작성하였습니다.
필요하셨던 분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